![]() | |
![]() | |
이름 | |
---|---|
IUPAC 이름
Threonine
| |
별칭
2-Amino-3-hydroxybutan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0.704 |
EC 번호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4H9NO3 | |
몰 질량 | 119.120 g·mol−1 |
(H2O, g/dl) 10.6(30°),14.1(52°),19.0(61°) | |
산성도 (pKa) | 2.63 (carboxyl), 10.43 (amino)[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트레오닌(영어: threonine)은 알파-아미노산의 하나로 필수 아미노산에 속한다. 화학식으로는 HO2CCH(NH2)CH(OH)CH3이다.
친수성
트레오닌은 라이신과 함께 나머지 대부분의 필수 아미노산이 소수성(hydrophobic)인것과는 다르게 친수성(hydrophile)을 보인다. 한편, 친수성인 트레오닌(Threonine)은 산성이면서 비전하(uncharged) 되어 있는 극성(polar)이다. 함께 친수성인 라이신(Lysine)은 친수성이지만 염기성이며 양 전하(pogitive charged)를 띄고 있다.
같이 보기
참고
- ↑ Dawson, R.M.C., et al., Data for Biochemical Research, Oxford, Clarendon Press, 1959.
![]() |
이 글은 생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