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lutamic acid
| |
![]() | |
![]() | |
이름 | |
---|---|
체계명
2-Aminopentanedioic acid | |
별칭
2-Aminoglutar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3DMet |
|
1723801 (L) 1723799 (rac) 1723800 (D)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9.567 |
EC 번호 |
|
식품 첨가물 코드 번호 | E620 (조미료) |
3502 (L) 101971 (rac) 201189 (D) |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5H9NO4 | |
몰 질량 | 147.130 g·mol−1 |
겉보기 | white crystalline powder |
밀도 | 1.4601 (20 °C) |
녹는점 | 199 °C (390 °F; 472 K) decomposes |
7.5 g/L (20 °C)[1] | |
용해도 | 0.00035g/100g ethanol (25 °C)[2] |
산성도 (pKa) | 2.10, 4.07, 9.47[3] |
자화율 (χ)
|
-78.5·10−6 cm3/mol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
신호어 | 경고 |
H315, H319, H335 | |
P261, P264, P271, P280, P302+352, P304+340, P305+351+338, P312, P321, P332+313, P337+313, P362, P403+233, P405, P501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글루탐산(영어: glutamate)은 20가지 단백질성 아미노산 가운데 하나이며 코돈은 GAA, GAG이다. 동물의 체내에서 신경 전달 물질로 기능한다. 글루탐산 수용체를 통해 신경 말단의 흥분을 전달한다. 동물과 식물의 단백질서 고루 발견되며 조미료용 염인 모노소듐 글루탐산의 주성분일 뿐만 아니라 엽산의 합성에도 반드시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글루탐산을 통해 합성된 엽산이 뇌세포에 축적될경우 뇌를 손상시켜 뇌졸중및 발달 위험성을 감소 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아미노트랜스퍼레이즈
아미노교환효소(amino交換酵素) 또는 아미노트랜스퍼레이즈(aminotransferase)는 아미노가 화합물에서 아미노산과 알파케토산 사이에 일어나는 일련의 반응에 대하여 촉매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같이 보기
각주
- ↑ “L-Glutamic acid CAS#: 56-86-0”. 《www.chemicalbook.com》.
- ↑ Belitz, H.-D; Grosch, Werner; Schieberle, Peter (2009년 2월 27일). 《Food Chemistry》. ISBN 978-3540699330.
- ↑ “Amino Acid Structures”. cem.msu.edu. 1998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이 글은 생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